'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44 Page) :: 아이폰 SE4 출시일
반응형
728x170

대한민국 남자로 살아갈 경우, 군대 즉 병역의무를 가지는 건 당연합니다. 그러나 본인의 이중국적 또는 복수국적자인 경우에는 어떠한 방법으로 달라지는지, 궁금하실 분이 많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통해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복수국적자란 혈통주의(속인주의) 국민의 자녀가 출생지주의(속지주의) 국가에서 출생하여 부 또는 모의 국적과 출생지 국가의 국적을 동시에 취득한 사람을 말합니다. 예컨대 한국인을 부 또는 모로 하여 속지주의 국가인 미국에서 출생한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한국 국적과 미국 시민권을 동시에 가지게 되어 복수국적자가 됩니다.


※ 가족관계등록신고와 국적의 관계: 가족관계등록 신고는 국적 득실의 실체적 효과를 창설하는 것이 아니고, 국적법에 따라 형성된 국적의 득실 또는 실체적 변동내역을 사후적·보고적으로 정리하는 행위에 불과함. 따라서 출생·귀화 등 국적법이 정한 국적취득 원인에 의하여 한국 국적을 취득하였으나 가족관계등록 신고를 하지 않아 가족관계등록부가 작성되지 않은 상태라 하더라도 한국국적을 가지고 있다는 실체적 신분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음


■복수국적자 병역의무


• 대한민국 국민인 남자는 헌법과 병역법에 따라 병역의무가 있습니다.

• 복수국적자인 남자는 18세가 되는 해 3월 말까지 하나의 국적을 선택하여야 하며 그 기간 내 국적을 이탈하지 아니한 사람은 병역의무가 있습니다.

• 다만, 외국에 거주하는 복수국적자는 다음과 같은 요건을 갖추고 있으면 37세까지 병역을 연기받을 수 있으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24세부터 25세가 되는 해 1월 15일 사이에 재외공관을 통해 ‘국외이주’ 사유로 국외여행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 외국의 영주권이나 시민권을 가진 부 또는 모와 같이 계속하여 3년 이상 국외에서 거주하는 사람

• 부모와 같이 24세 이전부터 5년 이상 국외에서 계속 거주하는 사람

• 국외에서 10년 이상 계속하여 거주하고 있는 사람


선천적 복수국적자의 국적선택의무와 외국국적 불행사 서약

➡️선천적 복수국적자는 일정한 연령에 도달할 때까지 한국 국적과 외국 국적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국적법 제12조)

➡️다만, 남녀 모두 만 22세가 되기 전까지 한국 국적을 선택하게 되면 외국 국적을 포기하는 대신 외국국적불행사 서약을 할 수 있고, 남자는 만 22세가 지났더라도 현역, 보충역 등으로 병역복무를 마치면 외국국적불행사 서약을 할 수 있는 기회가 2년 동안(병역복무를 마친 날부터 2년) 추가적으로 있습니다.(외국국적불행사 서약 방식에 의한 복수국적 평생 허용)

➡️외국국적불행사 서약은 한국 국적을 선택하면서 하는 것이므로 국적선택신고 구비서류를 법무부에 제출해야 하며, 원정출산자 자녀가 아님을 입증하는 서류도 제출해야 합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내용은 병무청 공식 홈페이지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음을 사전에 알려드립니다.

그리드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