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살 생일에 선물만 4억원 받은 장원영" 초호화 생일 선물에 대한 네티즌과 논란에 대한 진실 :: 아이폰 16E 출시일
반응형

아이브의 "안녕즈"를 연달아 생일을 맞이했습니다. 어제가 생일이었던 장원영은 1위까지 거머쥐며 19살의 생일을 즐겼는데요. 이에 팬들도 축제 분위기인 가운데 때아닌 논란이 찬물을 끼얹었습니다. 중국 팬들이 장원영에게 보낸 선물이 너무 과하다 저 돈으로 기부나 했으면 좋겠다는 반응이 이어진 것이죠. 자세히 살펴보면 장원영이 받은 조공에는 숨겨진 진실이 있었다고 하는데 대체 어떤 논란이었는지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연일 최고 성적을 갱신하며 잘 나가고 있는 아이브 어제는 장원영의 생일, 오늘은 안유진의 생일을 맞이해 팬들도 축제 분위기입니다. 장원영은 뮤직뱅크,  화파크리스틴, 프레드 등 현재 함께 일하고 있는 곳들에서 많은 축하를 받았는데요. sns에 인증하며 열아홉이라는 문구로 간단하게 심경을 전달했죠.

무엇보다 놀라운 건 중국 팬들의 서포트였습니다. 일명 조공이라고 불리는 서포트 문화는 팬들이 연예인에게 전달하는 선물을 말하는데요. 장원영은 선물 규모도 압도적이었죠.

335만원 프라다백, 230만원 미우미우백, 140만원프라다 지갑 등 4가지 명품백과 820만원 목걸이, 215만원 팔찌, 24벌의 명품옷, 7켤레의 명품 신발,  카메라, 커피머신, 리모, 캐리어까지 총 54의 물품이 전달됐다고 합니다. 이에 역시 대륙 팬들이라 규모가 크다.

선물 리스트가 내려도 내려도 끝이 없다며 네티즌들의 감탄이 이어졌는데요. 한편으로는 이를 불편하게 바라보는 시선도 있었습니다. 장원영이 팬들보다 훨씬 돈을 많이 벌 테고 상하 관계도 아닌데 돈을 모아 선물을 주는 게 기괴하다는 것이죠.

엠버서더라서 이미 미우미우는 많을 텐데 왜 미우미우만 주냐 옷이 너무 짧다는 참견도 있었는데요. 특히 저 돈으로 기부를 하는 게 낫겠다. 팬들이 준비한 선물을 무의미한 사치품으로 여기는 의견들도 적지 않았죠. 

그런데 여기서 반전이 드러났습니다. 일부 네티즌들이 기부나 하라고 참견을 했는데 사실 장원영의 중국 팬들은 생일 선물의 일환으로 기부를 했다고 하죠. 중국 아동들에게 이미 기부를 하고 인증까지 했습니다. 명품 선물보다 자극적이지 않은 소식이라 조용히 묻혔던 겁니다. 또 미우미우만 있다는 건 트집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있는데요.

다양한 브랜드면 물론 좋겠지만 미우미우 엠버서더인 장원영이 눈치 보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일부러 미우 미우를 중심으로 준비했다고 하죠. 사실 팬들이 이렇게 정성껏 선물을 준비하는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장원영은 원래 팬들의 선물을 알차게 인증하기로 유명한데요.

출퇴근 길에 보이는 sns 사진에서 든 명품백 등이 대부분 팬들의 선물이라고 하죠. 편하게 출국하는 길에도 팬들이 준 선물을 빠짐없이 착용하는데요. 비단 명품뿐만이 아닙니다. 팬이 준 컵 팬이 준 키링 등 소소한 물건들도 잘 사용해 왔죠. 선물을 보낸 사람이 뿌듯할 정도인지라 팬들이 아낌없이 선물을 보내고 싶어 하는 마음도 이해가 됩니다.

이러한 명품 선물 외에 장원영은 중학교 때 있던 체크 난방을 지금도 있거나 좀 중1때 입던 패딩을 데뷔 후에도 입고 2년 전 아이즈원 촬영 때 산 원피스를 최근까지 입는 등 검소하다고 합니다.

선물이 많으니 굳이 또 살 필요도 없긴 하겠지만 그래도 돈이 많을 텐데 과소비하지 않는 걸 보면 애초에 명품에 큰 욕심이 없는 것 같다는 추측도 있는데요. 물론 서포트 문화가 논란이 많았던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장원영 뿐만 아니라 배우들을 비롯해 많은 연예인들이 선물을 받고 있다고 하죠. 인터넷에 흔히 올라오는 밥 자 간식차 대형 광고도 서포트의 일종이라면 여기에는 훈훈하다는 반응을 보이면서 유독 장원영이 받은 명품 선물에만 기괴하다는 말이 나오는 건 그냥 열폭 아니냐는 지적도 이어지는 상황입니다. 당연하게도 가장 중요한 건 돈이 아니라 마음이죠 그래서 장원영도 한 번도 선물을 강요하거나 지나치게 자랑한 적은 없다고 합니다.

워낙 팬들이 많아 선물 규모가 클 뿐인데요. 이를 괜히 까내리며 서포트 경쟁을 부추기기보다 올바른 팬 문화가 정착되었으면 좋겠네요.

 

하단의 글을 참고하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FDr494pHc0&t=1s 

 

+ Recent posts